랜덤! 카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랜덤! 카툰스》는 프레드 사이버트가 기획한 단편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제작되었다. 《왓 어 카툰!》과 《오 예! 카툰스》의 뒤를 잇는 프로젝트로, 13개의 30분 분량 에피소드(7분 분량의 39개 세그먼트)로 구성되었다. 2008년 Nicktoons Network 채널에서 방영되었으며, 《어드벤처 타임》, 《브레이베스트 워리어스》, 《팬보이 & 첨첨》 등의 정규 시리즈를 파생시켰다. 프레데이터 스튜디오의 "인큐베이터" 전통을 이어받아 신인 애니메이터 발굴과 실험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을 지원했으며, 다양한 인기 애니메이션 시리즈 탄생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니메이션 앤솔러지 프로그램 - 왓 어 카툰!
프레드 세이버트가 제작한 《왓 어 카툰!》은 카툰 네트워크의 단편 애니메이션 인큐베이터 프로젝트로, 다양한 제작진이 독창적인 비전을 담아 제작한 단편들을 선보이며 《덱스터의 실험실》, 《파워퍼프걸》, 《조니 브라보》 등 인기 시리즈를 배출하여 애니메이션 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애니메이션 앤솔러지 프로그램 - 하우스 오브 마우스
《하우스 오브 마우스》는 미키 마우스와 친구들이 운영하는 클럽에서 다양한 디즈니 캐릭터들이 손님으로 등장하여 쇼를 진행하는 디너 극장 형식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고전 만화 스타일의 단편들이 삽입되어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방영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플래시 애니메이션 - 꾸러기 닌자 토리
《꾸러기 닌자 토리》는 만화에서 시작해 다양한 미디어믹스로 제작된 일본의 인기 시리즈로, 1980년대 새로운 애니메이션 방영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인도에서 국민적 애니메이션으로 자리매김했고, 평범한 초등학생과 닌자 친구의 이야기를 통해 닌자 기술과 생활 개그를 보여준다. - 플래시 애니메이션 - 페파피그
페파피그는 2004년 영국에서 시작된 유아용 애니메이션으로, 5세 암퇘지 소녀 페파와 가족, 친구들의 일상을 다루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어 다양한 미디어 믹스와 상품이 제작되고 있다. - 니켈로디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마다가스카의 펭귄
《마다가스카의 펭귄》은 드림웍스와 니켈로디언이 공동 제작한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영화 《마다가스카》에 등장하는 펭귄 특공대가 센트럴파크 동물원에서 유머와 뛰어난 능력으로 질서를 유지하며 다양한 동물들과 벌이는 이야기를 다룬다. - 니켈로디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블레이즈와 몬스터 머신
《블레이즈와 몬스터 머신》은 블레이즈와 AJ가 블레이징 스피드와 과학 기술로 문제를 해결하며 크래셔, 피클 등 라이벌 및 다양한 몬스터 머신 친구들과 함께 액슬 시티 등 여러 장소에서 모험을 펼치는 어린이 애니메이션이다.
랜덤! 카툰스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 제목 | Random! Cartoons |
장르 | 애니메이션 코미디 버라이어티 만화 영화 |
기획 | 프레드 세이버트 |
제작 | 프레드 세이버트 |
음악 작곡가 | The Bunker New York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방송사 | 닉툰즈 |
총괄 프로듀서 | 프레드 세이버트 래리 후버 |
프로듀서 | 케빈 콜드 |
제작사 | 프레더레이터 주식회사 니켈로디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시즌 수 | 1 |
에피소드 수 | 13 (39개의 단편) |
러닝 타임 | 21분 |
관련 작품 | 오 예! 카툰 팬보이 & 첨첨 어드벤처 타임 브레이브 워리어스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2. 제작 배경
프레드 사이버트[2]는 《왓 어 카툰!》과 《오 예! 카툰스》의 뒤를 잇는 프로젝트로 《랜덤! 카툰스》를 기획했다. 그는 이 시리즈를 위해 13개의 30분 분량 에피소드(7분 분량의 39개 세그먼트)를 주문했다.[3]
이 시리즈의 제작은 2005년에 시작되어 2007년에 종료되었다. 원래 2007년 말 니켈로데온에서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Nicktoons Network 채널에서 2008년에 방영하는 것으로 연기되었다. 이 단편들은 2007년 1월에 처음으로 방송과 온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공개되었다.
《오 예! 카툰스》와는 달리, 진행자는 등장하지 않는다. 2006년 1월 10일, ASIFA-Hollywood는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에 있는 Nicktoons Studios에서 6개의 단편 미리보기 상영회와 제작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이후 이 단편들 중 일부는 정규 시리즈 또는 웹 시리즈로 제작되었다. 《어드벤처 타임》은 2010년 4월 5일 카툰 네트워크에서,[4] 《브레이베스트 워리어스》는 2012년 11월 8일 Cartoon Hangover에서,[5] 《팬보이 & 첨첨》은 2009년 11월 7일 니켈로데온에서 각각 정규 시리즈로 방영되기 시작했다.
2. 1. 기획 의도
2. 2. 제작 과정
프레드 사이버트는 이 시리즈를 위해 13개의 30분 분량 에피소드(7분 분량의 39개 세그먼트)를 주문했는데, 이는 원래 2005년에 ''오 예! 카툰스''의 네 번째 시즌으로 발표되었다.[3] 시리즈 제작은 2005년에 시작되어 2007년에 종료되었다.[3] 당초 2007년 말 니켈로데온에서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나중에 별도의 Nicktoons Network 채널에서 2008년에 방영하도록 연기되었다.[3]''오 예! 카툰스''와 달리, 진행자는 없다. 2006년 1월 10일, ASIFA-Hollywood는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에 있는 Nicktoons Studios에서 6개의 단편 미리보기 상영회와 함께 제작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이 단편들 중 두 개는 텔레비전 시리즈로, 하나는 웹 시리즈로 선택되었다. 그 단편들은 ''어드벤처 타임'', ''The Bravest Warriors'' 및 ''팬보이''였다. ''어드벤처 타임''은 2010년 4월 5일 카툰 네트워크에서 정규 시리즈로 방영되기 시작했다.[4] 새로운 이름 ''브레이베스트 워리어스''로 변경된 ''The Bravest Warriors''는 2012년 11월 8일 Cartoon Hangover에서 방영되기 시작했다.[5] 새로운 이름 ''팬보이 & 첨첨''으로 변경된 ''팬보이''는 2009년 11월 7일 니켈로데온에서 정규 시리즈로 방영되기 시작했다.
3. 주요 작품
3. 1. 《어드벤처 타임》
3. 2. 《브레이비스트 워리어스》
3. 3. 《팬보이 & 첨첨》
4. 작품 목록
번호 | 제목 | 제작 | 본 방송일 | 시리즈/단편 |
---|---|---|---|---|
1 | "Solomon Fix" | 더그 텐나펠 | 2008년 12월 6일 | 단편 |
"MooBeard the Cow Pirate" | 카일 캐로짜(Kyle Carrozza) | 2008년 12월 6일 | 단편 | |
"Two Witch Sisters" | 니키 양 | 2008년 12월 6일 | 단편 | |
2 | "The Finster Finster Show!" | Jeff DeGrandis | 2008년 12월 7일 | 단편 |
"Adventure Time" | 펜들턴 워드 | 2008년 12월 7일 | TV 시리즈 | |
"Mind the Kitty" | 앤 워커(Anne Walker) | 2008년 12월 7일 | 단편 | |
3 | "Ivan the Unbearable" | 앤드루 딕맨(Andrew Dickman) | 2008년 12월 13일 | 단편 |
"Boneheads" | 폴리곤 픽처스 | 2008년 12월 13일 | 단편 | |
"Tiffany" | 아담 헨리(Adam Henry) | 2008년 12월 13일 | 단편 | |
4 | "Hero Heights" | 라울 아귀레 주니어(Raul Aguirre Jr.), 빌 호(Bill Ho) | 2008년 12월 27일 | 단편 |
"Yaki & Yumi" | Aliki Theofilopoulos Grafft | 2008년 12월 27일 | 단편 | |
"Gary Guitar" | 빌 플림턴(Bill Plympton) | 2008년 12월 27일 | 단편 | |
5 | "Call Me Bessie!" | Diane Kredensor, 다나 가린(Dana Galin) | 2008년 12월 20일 | 단편 |
"Teapot" | 그렉 이글스(Greg Eagles) | 2008년 12월 20일 | 단편 | |
"Hornswiggle" | 제리 벡(Jerry Beck) | 2008년 12월 20일 | 단편 | |
6 | "Krunch and the Kid" | 아담 헨리(Adam Henry) | 2009년 1월 3일 | 단편 |
"Bradwurst" | Jason Plapp, 안젤로 디 날로(Angelo di Nallo) | 2009년 1월 3일 | 단편 | |
"Dr. Froyd's Funny Farm" | 빌 버네트(Bill Burnett), Jaime Diaz | 2009년 1월 3일 | 단편 | |
7 | "The Bravest Warriors" | 펜들턴 워드 | 2009년 1월 10일 | 웹 시리즈 |
"The Dangerous Duck Brothers" | 패트릭 벤투라(Patrick Ventura) | 2009년 1월 10일 | 단편 | |
"Sparkles and Gloom" | 멜리사 울프(Melissa Wolfe), 앤 워커(Anne Walker) | 2009년 1월 10일 | 단편 | |
8 | "The Infinite Goliath" | 마이크 그레이(Mike Gray), 에릭 넛슨(Erik Knutson) | 2009년 1월 17일 | 단편 |
"Kyle + Rosemary" | 준 폴켄스타인(Jun Falkenstein) | 2009년 1월 17일 | 단편 | |
"Garlic Boy" | 존 R. 딜워스(John R. Dilworth) | 2009년 1월 17일 | 단편 | |
9 | "Flavio" | 마이크 밀로(Mike Milo) | 2009년 1월 24일 | 단편 |
"SamSquatch" | 아담 무토 | 2009년 1월 24일 | 단편 | |
"Girls on the Go" | Aliki Theofilopoulos Grafft | 2009년 1월 24일 | 단편 | |
10 | "Victor the Delivery Dog" | 니키 양 | 2009년 1월 31일 | 단편 |
"Bronk and Bongo" | 매니 갈란(Manny Galan), 알란 굿맨(Alan Goodman) | 2009년 1월 31일 | 단편 | |
"Thom Cat" | 마이크 그레이(Mike Gray) | 2009년 1월 31일 | 단편 | |
11 | "Sugarfoot" | 에릭 넛슨(Erik Knutson) | 2009년 4월 4일 | 단편 |
"Dugly Uckling's Treasure Quest" | Guy Vasilovich | 2009년 4월 4일 | 단편 | |
"Dr. Dee and Bit Boy" | Seo Jun-Kyo, Kang Yo-Kong, 래리 휴버(Larry Huber) | 2009년 4월 4일 | 단편 | |
12 | "Super John Doe Jr." | 링컨 퍼스(Lincoln Peirce) | 2009년 4월 11일 | 단편 |
"Six Monsters" | 알란 굿맨(Alan Goodman), 데이브 프레슬러(Dave Pressler), 프레드 세이버트 | 2009년 4월 11일 | 단편 | |
"Ratzafratz!" | 칼 토지(Karl Toerge), 짐 와이어트(Jim Wyatt) | 2009년 4월 11일 | 단편 | |
13 | "Squirly Town" | 더그 텐나펠 | 2009년 8월 14일 | 단편 |
"Fanboy" | 에릭 로블레스 | 2009년 8월 14일 | TV 시리즈 | |
"HandyCat" | G. 브라이언 레이놀즈(G. Brian Reynolds), 러스 해리스(Russ Harris) | 2009년 8월 14일 | 단편 | |
4. 1. 방영 목록
번호 | 제목 | 제작 | 본 방송일 | 시리즈/단편 |
---|---|---|---|---|
1 | "Solomon Fix" | 더그 텐나펠(Doug TenNapel) | 2008년 12월 6일 | 단편 |
"MooBeard the Cow Pirate" | 카일 캐로짜(Kyle Carrozza) | 2008년 12월 6일 | 단편 | |
"Two Witch Sisters" | 니키 양(Niki Yang) | 2008년 12월 6일 | 단편 | |
2 | "The Finster Finster Show!" | Jeff DeGrandis | 2008년 12월 7일 | 단편 |
"Adventure Time" | 펜들턴 워드(Pendleton Ward) | 2008년 12월 7일 | TV 시리즈 | |
"Mind the Kitty" | 앤 워커(Anne Walker) | 2008년 12월 7일 | 단편 | |
3 | "Ivan the Unbearable" | 앤드루 딕맨(Andrew Dickman) | 2008년 12월 13일 | 단편 |
"Boneheads" | 폴리곤 픽처스 | 2008년 12월 13일 | 단편 | |
"Tiffany" | 아담 헨리(Adam Henry) | 2008년 12월 13일 | 단편 | |
4 | "Hero Heights" | 라울 아귀레 주니어(Raul Aguirre Jr.), 빌 호(Bill Ho) | 2008년 12월 27일 | 단편 |
"Yaki & Yumi" | Aliki Theofilopoulos Grafft | 2008년 12월 27일 | 단편 | |
"Gary Guitar" | 빌 플림턴(Bill Plympton) | 2008년 12월 27일 | 단편 | |
5 | "Call Me Bessie!" | Diane Kredensor, 다나 가린(Dana Galin) | 2008년 12월 20일 | 단편 |
"Teapot" | 그렉 이글스(Greg Eagles) | 2008년 12월 20일 | 단편 | |
"Hornswiggle" | 제리 벡(Jerry Beck) | 2008년 12월 20일 | 단편 | |
6 | "Krunch and the Kid" | 아담 헨리(Adam Henry) | 2009년 1월 3일 | 단편 |
"Bradwurst" | Jason Plapp, 안젤로 디 날로(Angelo di Nallo) | 2009년 1월 3일 | 단편 | |
"Dr. Froyd's Funny Farm" | 빌 버네트(Bill Burnett), Jaime Diaz | 2009년 1월 3일 | 단편 | |
7 | "The Bravest Warriors" | 펜들턴 워드(Pendleton Ward) | 2009년 1월 10일 | 웹 시리즈 |
"The Dangerous Duck Brothers" | 패트릭 벤투라(Patrick Ventura) | 2009년 1월 10일 | 단편 | |
"Sparkles and Gloom" | 멜리사 울프(Melissa Wolfe), 앤 워커(Anne Walker) | 2009년 1월 10일 | 단편 | |
8 | "The Infinite Goliath" | 마이크 그레이(Mike Gray), 에릭 넛슨(Erik Knutson) | 2009년 1월 17일 | 단편 |
"Kyle + Rosemary" | 준 폴켄스타인(Jun Falkenstein) | 2009년 1월 17일 | 단편 | |
"Garlic Boy" | 존 R. 딜워스(John R. Dilworth) | 2009년 1월 17일 | 단편 | |
9 | "Flavio" | 마이크 밀로(Mike Milo) | 2009년 1월 24일 | 단편 |
"SamSquatch" | 애덤 무토(Adam Muto) | 2009년 1월 24일 | 단편 | |
"Girls on the Go" | Aliki Theofilopoulos Grafft | 2009년 1월 24일 | 단편 | |
10 | "Victor the Delivery Dog" | 니키 양(Niki Yang) | 2009년 1월 31일 | 단편 |
"Bronk and Bongo" | 매니 갈란(Manny Galan), 알란 굿맨(Alan Goodman) | 2009년 1월 31일 | 단편 | |
"Thom Cat" | 마이크 그레이(Mike Gray) | 2009년 1월 31일 | 단편 | |
11 | "Sugarfoot" | 에릭 넛슨(Erik Knutson) | 2009년 4월 4일 | 단편 |
"Dugly Uckling's Treasure Quest" | Guy Vasilovich | 2009년 4월 4일 | 단편 | |
"Dr. Dee and Bit Boy" | Seo Jun-Kyo, Kang Yo-Kong, 래리 휴버(Larry Huber) | 2009년 4월 4일 | 단편 | |
12 | "Super John Doe Jr." | 링컨 퍼스(Lincoln Peirce) | 2009년 4월 11일 | 단편 |
"Six Monsters" | 알란 굿맨(Alan Goodman), 데이브 프레슬러(Dave Pressler), 프레드 세이버트(Fred Seibert) | 2009년 4월 11일 | 단편 | |
"Ratzafratz!" | 칼 토지(Karl Toerge), 짐 와이어트(Jim Wyatt) | 2009년 4월 11일 | 단편 | |
13 | "Squirly Town" | 더그 텐나펠(Doug TenNapel) | 2009년 8월 14일 | 단편 |
"Fanboy" | 에릭 로블레스 | 2009년 8월 14일 | TV 시리즈 | |
"HandyCat" | G. 브라이언 레이놀즈(G. Brian Reynolds), 러스 해리스(Russ Harris) | 2009년 8월 14일 | 단편 | |
2008년 12월 6일, 더그 텐나펠이 제작한 'Solomon Fix', 카일 캐로짜의 'MooBeard the Cow Pirate', 니키 양의 'Two Witch Sisters'가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12월 7일에는 Jeff DeGrandis의 'The Finster Finster Show!', 펜들턴 워드의 Adventure Time (TV 시리즈), 앤 워커의 'Mind the Kitty'가 방영되었다.
2008년 12월 13일, 앤드루 딕맨의 'Ivan the Unbearable', 폴리곤 픽처스의 'Boneheads', 아담 헨리의 'Tiffany'가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12월 27일에는 라울 아귀레 주니어와 빌 호의 'Hero Heights', Aliki Theofilopoulos Grafft의 'Yaki & Yumi', 빌 플림턴의 'Gary Guitar'가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2008년 12월 20일, Diane Kredensor와 다나 가린의 'Call Me Bessie!', 그렉 이글스의 'Teapot', 제리 벡의 'Hornswiggle'가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2009년 1월 3일에는 아담 헨리의 'Krunch and the Kid', Jason Plapp과 안젤로 디 날로의 'Bradwurst', 빌 버네트와 Jaime Diaz의 'Dr. Froyd's Funny Farm'이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2009년 1월 10일, 펜들턴 워드의 The Bravest Warriors (웹 시리즈), 패트릭 벤투라의 'The Dangerous Duck Brothers', 멜리사 울프와 앤 워커의 'Sparkles and Gloom'이 방영되었다. 1월 17일에는 마이크 그레이와 에릭 넛슨의 'The Infinite Goliath', 준 폴켄스타인의 'Kyle + Rosemary', 존 R. 딜워스의 'Garlic Boy'가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2009년 1월 24일, 마이크 밀로의 'Flavio', 아담 무토의 'SamSquatch', Aliki Theofilopoulos Grafft의 'Girls on the Go'가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1월 31일에는 니키 양의 'Victor the Delivery Dog', 매니 갈란과 알란 굿맨의 'Bronk and Bongo', 마이크 그레이의 'Thom Cat'이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2009년 4월 4일, 에릭 넛슨의 'Sugarfoot', Guy Vasilovich의 'Dugly Uckling's Treasure Quest', Seo Jun-Kyo, Kang Yo-Kong, 래리 휴버의 'Dr. Dee and Bit Boy'가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4월 11일에는 링컨 퍼스의 'Super John Doe Jr.', 알란 굿맨, 데이브 프레슬러, 프레드 세이버트의 'Six Monsters', 칼 토지와 짐 와이어트의 'Ratzafratz!'가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2009년 8월 14일, 더그 텐나펠의 'Squirly Town', 에릭 로블레스의 Fanboy (TV 시리즈), G. 브라이언 레이놀즈와 러스 해리스의 'HandyCat'이 단편으로 방영되었다.
5. 영향 및 평가
《랜덤! 카툰스》는 프레데이터 스튜디오의 세 번째 단편 카툰 "인큐베이터"이다.[6] 프레데이터는 여러 카툰 단편 "인큐베이터"를 통해 새로운 인재, 캐릭터, 시리즈를 발굴하는 전통을 이어왔다.[7] 《왓 어 카툰!》, 《더 메스 미닛 39》, 《랜덤! 카툰스》, 《투 쿨! 카툰스》, 《GO! 카툰스》 등이 이러한 시도에 포함된다.[6][7]
이러한 실험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은 《덱스터의 실험실》, 《파워퍼프 걸》, 《용감한 죠니》, 《암소와 병아리》,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 《못말리는 세 친구》, Nite Fite, 《팬보이 & 첨첨》, 《어드벤처 타임》, 《브레이베스트 워리어스》, Rocket Dog, 《비와 퍼피캣》 등의 주요 시리즈를 탄생시키는 기반이 되었다.[7]
5. 1. 긍정적 평가
5. 2. 부정적 평가
6. 유산
프레드 사이버트는 《랜덤! 카툰스》 이후에도 《투 쿨! 카툰스》(Too Cool! Cartoons), 《GO! 카툰스》(GO! Cartoons) 등을 통해 신인 애니메이터 발굴과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 지원을 이어갔다.[7] 이러한 프레데이터 스튜디오의 노력은 《덱스터의 실험실》, 《파워퍼프 걸》,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 등 다양한 인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탄생에 기여했다.[7]
7.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에의 시사점
7. 1. 창작 지원 시스템 강화
7. 2. 다양성 확보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American Animated Television Shows
Rowman & Littlefield
2018
[2]
웹사이트
Frederator Studios Flickr | Fred Seibert's Blog | Frederator Postcards Series 6.12
https://www.flickr.c[...]
[3]
웹사이트
Oh Yeah Cartoons! Returns To Nickelodeon - Animation World Network
https://www.awn.com/[...]
2005-04-05
[4]
웹사이트
Cartoon Network Premieres “Adventure Time with Finn & Jake” on April 5, 2010 Frederator.com March 1, 2010
http://adventuretime[...]
[5]
Youtube
Cartoon Hangover November 8, 2012
https://www.youtube.[...]
[6]
Youtube
The Meth Minute 39 on YouTube
https://www.youtube.[...]
[7]
뉴스
Sony, Channel Frederator Launch Online Animation Incubator
https://deadline.com[...]
Deadline Hollywood
2014-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